내가 이 집을 처음 간 건 김원식선생님과 함께 였다.
벌써 5~6년은 된 일이다.
근처에서 식사를 해야 할 일이 있었고, 그래서 이 집을 추천한다는 김원식선생님과 함께 이 집에서 설농탕을 먹었다.
식사를 하면서 주위의 고풍스러운 - 하지만 서민분위기의 식당 인테리어에 놀라고, '내가 이 집을 처음 찾은 건 10살 남짓이었을때 삼촌과 함께 였다'는 김원식 선생님의 말에 다시 놀랐다. (김원식 선생님이 1923년생이니 그때에도 이문설농탕은 30년 전통의 오래된 식당이었을 것이다.)
주인도 설립연도를 모르는 오래된 식당.
옆에 서 있던 화신이 번영했다가 사라지는 것을 그대로 본 식당.(요즘도 간혹 삼성타워 앞을 지나면 그곳에 있던 낡은 구 화신 건물이 생각난다. 어릴때 봤던 화신건물은 마치 지금의 세운상가처럼 낡고 허름한 슬럼화된 건물이었다. 하지만 그 건물이 우리나라 근대사에서 큰 의미를 갖는 건물이라는 것을 안 건 건물이 헐리고 나서 였다. 그걸 알았다면 건물앞에서 사진이라도 찍어 놓을껄..-_-;;) 이런 식당이 이문식당이다.
박헌영도 단골이었다는 식당에서 오늘도 설농탕 한 그릇을 먹었다.
모든 것이 급격하게 바뀌는 세태이지만, 100년, 200년 되는 식당이 있다는 것에는 또 다른 운치가 있지 않을까?
--------------------------------------------------
100년 맛 이어받은 전성근 ‘이문설농탕’ 주인
[서울신문 2004-09-14 10:09]
●설렁탕 서울을 대표하는 토속음식이다. 조선시대 왕이 동대문 밖 선농단(先農壇)에서 몸소 쟁기를 끄는 친경례(親耕禮)를 하면서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곰국을 대접하면서 비롯됐다고 한다. 왕은 친경례에서 수고한 백성에게 석잔의 술과 음식을 내려줬다. 이때 내린 것으로 술은 막걸리,음식은 설렁탕이었다. 설렁탕은 현장에서 쟁기질 하던 소를 잡아 끓인 것이 아니다. 소를 마구 잡는 법이 아닌데다 설렁탕은 국물이 제대로 우러나오려면 하루는 족히 끓여야 하기 때문이다. 쇠고기는 성균관 인근에서 살면서 서울의 쇠고기를 독점 생산,판매하던 반촌(泮村)의 반인들이 댔다고 한다.
■“손기정·김두한·박헌영씨도 한때 단골”
“맛을 한결같이 유지하는 게 100년 장수의 비결입니다.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음식점으로 알려진 서울 종로구 공평동 종로타워 뒤쪽 이문설농탕 주인 전성근(田聖根·59)씨는 역사의 비결을 묻는 물음에 “오래 됐다고 손님들이 오는 게 아니라 맛이 똑같기 때문에 옵니다. ”라고 말했다.
1907년 개업,한 자리에서 98년째 문을 열고있는 최고의 음식점 주인 말치곤 너무 담담해서 오히려 신선하다. 하지만 그 말 속에는 너무 빨리 변해가는 세상에 대한 예리한 지적이 담겨있음을 읽을 수 있다.
우리의 역사가 반만년이 넘는다곤 하지만 100년 가까운 식당은 참으로 드물다. 일제시대와 한국전쟁 등 치열했던 근세사를 건너기가 쉽지 않은 탓일 것이다.
최근 외식산업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취업도 어렵고,정년도 짧아진 세태에서 쉽게 생각하고 창업하는 것이 ‘먹는 장사’다. 한 집 건너 새로 문을 열고 그만큼 간판을 내리는 업종이 외식업이다.
●70대는 ‘어린’단골
이런 까닭으로 최고(最古)의 이문설농탕이 주목받는다.
이문설농탕은 전씨 집안이 전적으로 일으킨 가업은 아니다. 전씨의 어머니 유원석(2002년 작고)씨가 1960년,양모씨로부터 이문설농탕을 인수해 지켜오다 아들인 전씨에게 물려줬다.
이문설농탕의 간판을 처음 단 사람은 홍모씨로 알려져 있고 그뒤 양씨가 인수해 운영해왔다. 이들은 이름조차 알려져 있지 않다. 창업 연도도 여러 갈래다. 당시 경복궁 주위의 경기·배재·중앙·휘문고보 등을 다녔던 노인들의 기억에 따르면 멀게는 1902년부터 짧게는 1907년까지 거슬러 간다. 그래서 전씨는 가장 짧은 1907년을 개업 연도로 삼고 있다.
전씨는 “옛날에 이 부근에서 학교를 다녔던 학생들이 할아버지가 돼 손자들 손을 잡고 오시지요.3·4대째 단골이 많지요.저희 집에선 70대는 청춘이고 90대가 돼야 어른 대접을 받습니다. 60∼70년 단골이 부지기숩니다. ”라며 은근히 자랑한다.
70년대 초 건국대 농대를 졸업한 전씨는 경기도 수원에서 부친과 함께 목장을 운영했다. 목장이 사실은 할아버지(田熙哲)대부터 내려온 가업.할아버지는 목원대 전신인 감리교 대전신학원 초대교장을 지낸 목회자였다.
전씨가 식당일에 나선 것은 어머니를 돕기로 한 1981년부터.2∼3년 ‘잠시’ 돕겠다고 식당에 나왔다. “당시만해도 식당일을 한다는 것은 사회적 선입견이 달갑잖았지요.”하지만 식당일을 계속하면서 그의 생각이 달라졌다. “이집은 보통 집이 아니야.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음식점이야.”하는 노인들의 격려에 힘을 얻은 전씨는 식당 운영에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붙였다.
그는 오늘의 이문설농탕이 있게 한 공로를 어머니께 돌렸다. 그의 어머니 유씨는 1930년대에 이화여전 가사과를 나온 당시의 ‘신여성’이었다. 동기로는 세계적인 지휘자 정명훈씨의 어머니 이원숙씨가 대표적이다. 한국전쟁중이던 50년대 초 부산 광복동에서 유씨는 이씨와 동업으로 식당을 운영하기도 했다. 유씨는 이후 음식점 운영의 길을 걸었다.
이 집은 오랜 역사만큼이나 단골들도 역사의 한 자락을 차지했다.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영웅 손기정,이시영부통령,국어학자 이희승박사,남로당 거물 박헌영,주먹천하의 김두한 등이 단골이었다. 김두한은 10대때 한때 종업원으로 일했다고 전해온다.
80년대는 먹성좋은 운동선수 특히 유도 복싱 레슬링 등 격투기 선수들이 많이 찾았다. 당시 유도대표 선수들은 YMCA 체육관에서 연습을 했고,유도선수들의 소개로 복싱 레슬링 선수까지 이어진 것이다. 유도의 하형주,복싱의 김광선 문성길 등이 대표적이다.
단골이 많은 이 집의 한결같은 맛은 100년 전이나 똑같은 설렁탕을 끓여내는 방식에 있다. 단지 장작이 연탄에서 액화석유가스(LPG)로,다시 액화천연가스(LNG)로 바뀌었고,무쇠솥이 압력솥으로 변한 것 뿐이다. 건물도 일제시대 그대로다.
●퓨전을 이기는 전통의 맛
이 집의 설렁탕은 소의 거의 모든 부위를 넣고 15시간 푹 곤다. 국물이 뽀얗고 맛이 담백하면서도 짙다. 그래서 설농탕(雪濃湯)이라고 부른다.
농후한 국물 맛을 내기 위해 국물에 분유나 프림 등을 섞는다는 소문이 나돌아 한때 많은 집들이 타격을 입었다. 하지만 제대로 끓여내는 것으로 단골로부터 인정을 받아온 이문설농탕은 오히려 더 장사가 잘됐다.
“음식을 엉터리로 만들면 손님이 먼저 알아차립니다. ”그는 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유혹도 많지만 맛에 대한 고집으로 프랜차이즈나 분점도 내지 않고 있다.
상호는 1970년대에 이미 등록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이 ‘국적없는’ 퓨전 음식을 찾지만 이들도 나이가 들면 우리 고유의 음식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 이문설농탕은 일본 언론매체가 특집으로 다루면서 10여년 전부터 일본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특히 아침 손님은 일본인이 더 많다. 전씨는 이런 이유로 이문설농탕은 이제 자신 개인소유의 식당 차원을 넘어서고 있다고 생각한다. 역사의 명소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점이 된 까닭이다. “저희 집은 값도 마음대로 못올립니다. 단골 어르신들에게 먼저 의향을 여쭤봅니다. ”설농탕 보통 한 그릇에 5000원.수십년째 가격에 못이 박혔다.
뽀얀 국물처럼 햇빛에 바래 역사가 쌓이고 있는 이문설농탕.“전통을 잇는 장인의 각오로 이 자리를 지켜나가겠습니다. ”라는 전씨의 입가에 미소가 퍼졌다.
이기철기자 chuli@seoul.co.kr
벌써 5~6년은 된 일이다.
근처에서 식사를 해야 할 일이 있었고, 그래서 이 집을 추천한다는 김원식선생님과 함께 이 집에서 설농탕을 먹었다.
식사를 하면서 주위의 고풍스러운 - 하지만 서민분위기의 식당 인테리어에 놀라고, '내가 이 집을 처음 찾은 건 10살 남짓이었을때 삼촌과 함께 였다'는 김원식 선생님의 말에 다시 놀랐다. (김원식 선생님이 1923년생이니 그때에도 이문설농탕은 30년 전통의 오래된 식당이었을 것이다.)
주인도 설립연도를 모르는 오래된 식당.
옆에 서 있던 화신이 번영했다가 사라지는 것을 그대로 본 식당.(요즘도 간혹 삼성타워 앞을 지나면 그곳에 있던 낡은 구 화신 건물이 생각난다. 어릴때 봤던 화신건물은 마치 지금의 세운상가처럼 낡고 허름한 슬럼화된 건물이었다. 하지만 그 건물이 우리나라 근대사에서 큰 의미를 갖는 건물이라는 것을 안 건 건물이 헐리고 나서 였다. 그걸 알았다면 건물앞에서 사진이라도 찍어 놓을껄..-_-;;) 이런 식당이 이문식당이다.
박헌영도 단골이었다는 식당에서 오늘도 설농탕 한 그릇을 먹었다.
모든 것이 급격하게 바뀌는 세태이지만, 100년, 200년 되는 식당이 있다는 것에는 또 다른 운치가 있지 않을까?
--------------------------------------------------
100년 맛 이어받은 전성근 ‘이문설농탕’ 주인
[서울신문 2004-09-14 10:09]
●설렁탕 서울을 대표하는 토속음식이다. 조선시대 왕이 동대문 밖 선농단(先農壇)에서 몸소 쟁기를 끄는 친경례(親耕禮)를 하면서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곰국을 대접하면서 비롯됐다고 한다. 왕은 친경례에서 수고한 백성에게 석잔의 술과 음식을 내려줬다. 이때 내린 것으로 술은 막걸리,음식은 설렁탕이었다. 설렁탕은 현장에서 쟁기질 하던 소를 잡아 끓인 것이 아니다. 소를 마구 잡는 법이 아닌데다 설렁탕은 국물이 제대로 우러나오려면 하루는 족히 끓여야 하기 때문이다. 쇠고기는 성균관 인근에서 살면서 서울의 쇠고기를 독점 생산,판매하던 반촌(泮村)의 반인들이 댔다고 한다.
■“손기정·김두한·박헌영씨도 한때 단골”
“맛을 한결같이 유지하는 게 100년 장수의 비결입니다.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음식점으로 알려진 서울 종로구 공평동 종로타워 뒤쪽 이문설농탕 주인 전성근(田聖根·59)씨는 역사의 비결을 묻는 물음에 “오래 됐다고 손님들이 오는 게 아니라 맛이 똑같기 때문에 옵니다. ”라고 말했다.
1907년 개업,한 자리에서 98년째 문을 열고있는 최고의 음식점 주인 말치곤 너무 담담해서 오히려 신선하다. 하지만 그 말 속에는 너무 빨리 변해가는 세상에 대한 예리한 지적이 담겨있음을 읽을 수 있다.
우리의 역사가 반만년이 넘는다곤 하지만 100년 가까운 식당은 참으로 드물다. 일제시대와 한국전쟁 등 치열했던 근세사를 건너기가 쉽지 않은 탓일 것이다.
최근 외식산업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취업도 어렵고,정년도 짧아진 세태에서 쉽게 생각하고 창업하는 것이 ‘먹는 장사’다. 한 집 건너 새로 문을 열고 그만큼 간판을 내리는 업종이 외식업이다.
●70대는 ‘어린’단골
이런 까닭으로 최고(最古)의 이문설농탕이 주목받는다.
이문설농탕은 전씨 집안이 전적으로 일으킨 가업은 아니다. 전씨의 어머니 유원석(2002년 작고)씨가 1960년,양모씨로부터 이문설농탕을 인수해 지켜오다 아들인 전씨에게 물려줬다.
이문설농탕의 간판을 처음 단 사람은 홍모씨로 알려져 있고 그뒤 양씨가 인수해 운영해왔다. 이들은 이름조차 알려져 있지 않다. 창업 연도도 여러 갈래다. 당시 경복궁 주위의 경기·배재·중앙·휘문고보 등을 다녔던 노인들의 기억에 따르면 멀게는 1902년부터 짧게는 1907년까지 거슬러 간다. 그래서 전씨는 가장 짧은 1907년을 개업 연도로 삼고 있다.
전씨는 “옛날에 이 부근에서 학교를 다녔던 학생들이 할아버지가 돼 손자들 손을 잡고 오시지요.3·4대째 단골이 많지요.저희 집에선 70대는 청춘이고 90대가 돼야 어른 대접을 받습니다. 60∼70년 단골이 부지기숩니다. ”라며 은근히 자랑한다.
70년대 초 건국대 농대를 졸업한 전씨는 경기도 수원에서 부친과 함께 목장을 운영했다. 목장이 사실은 할아버지(田熙哲)대부터 내려온 가업.할아버지는 목원대 전신인 감리교 대전신학원 초대교장을 지낸 목회자였다.
전씨가 식당일에 나선 것은 어머니를 돕기로 한 1981년부터.2∼3년 ‘잠시’ 돕겠다고 식당에 나왔다. “당시만해도 식당일을 한다는 것은 사회적 선입견이 달갑잖았지요.”하지만 식당일을 계속하면서 그의 생각이 달라졌다. “이집은 보통 집이 아니야.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음식점이야.”하는 노인들의 격려에 힘을 얻은 전씨는 식당 운영에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붙였다.
그는 오늘의 이문설농탕이 있게 한 공로를 어머니께 돌렸다. 그의 어머니 유씨는 1930년대에 이화여전 가사과를 나온 당시의 ‘신여성’이었다. 동기로는 세계적인 지휘자 정명훈씨의 어머니 이원숙씨가 대표적이다. 한국전쟁중이던 50년대 초 부산 광복동에서 유씨는 이씨와 동업으로 식당을 운영하기도 했다. 유씨는 이후 음식점 운영의 길을 걸었다.
이 집은 오랜 역사만큼이나 단골들도 역사의 한 자락을 차지했다.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영웅 손기정,이시영부통령,국어학자 이희승박사,남로당 거물 박헌영,주먹천하의 김두한 등이 단골이었다. 김두한은 10대때 한때 종업원으로 일했다고 전해온다.
80년대는 먹성좋은 운동선수 특히 유도 복싱 레슬링 등 격투기 선수들이 많이 찾았다. 당시 유도대표 선수들은 YMCA 체육관에서 연습을 했고,유도선수들의 소개로 복싱 레슬링 선수까지 이어진 것이다. 유도의 하형주,복싱의 김광선 문성길 등이 대표적이다.
단골이 많은 이 집의 한결같은 맛은 100년 전이나 똑같은 설렁탕을 끓여내는 방식에 있다. 단지 장작이 연탄에서 액화석유가스(LPG)로,다시 액화천연가스(LNG)로 바뀌었고,무쇠솥이 압력솥으로 변한 것 뿐이다. 건물도 일제시대 그대로다.
●퓨전을 이기는 전통의 맛
이 집의 설렁탕은 소의 거의 모든 부위를 넣고 15시간 푹 곤다. 국물이 뽀얗고 맛이 담백하면서도 짙다. 그래서 설농탕(雪濃湯)이라고 부른다.
농후한 국물 맛을 내기 위해 국물에 분유나 프림 등을 섞는다는 소문이 나돌아 한때 많은 집들이 타격을 입었다. 하지만 제대로 끓여내는 것으로 단골로부터 인정을 받아온 이문설농탕은 오히려 더 장사가 잘됐다.
“음식을 엉터리로 만들면 손님이 먼저 알아차립니다. ”그는 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유혹도 많지만 맛에 대한 고집으로 프랜차이즈나 분점도 내지 않고 있다.
상호는 1970년대에 이미 등록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이 ‘국적없는’ 퓨전 음식을 찾지만 이들도 나이가 들면 우리 고유의 음식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 이문설농탕은 일본 언론매체가 특집으로 다루면서 10여년 전부터 일본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특히 아침 손님은 일본인이 더 많다. 전씨는 이런 이유로 이문설농탕은 이제 자신 개인소유의 식당 차원을 넘어서고 있다고 생각한다. 역사의 명소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점이 된 까닭이다. “저희 집은 값도 마음대로 못올립니다. 단골 어르신들에게 먼저 의향을 여쭤봅니다. ”설농탕 보통 한 그릇에 5000원.수십년째 가격에 못이 박혔다.
뽀얀 국물처럼 햇빛에 바래 역사가 쌓이고 있는 이문설농탕.“전통을 잇는 장인의 각오로 이 자리를 지켜나가겠습니다. ”라는 전씨의 입가에 미소가 퍼졌다.
이기철기자 chuli@seoul.co.kr
'내 잡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 웹노가다가 싫은 이유 (0) | 2006.03.21 |
---|---|
'스타워즈' TV시리즈로 만들어진다! (2) | 2006.03.16 |
새로 시작하려는 프로젝트와 google drive (2) | 2006.03.09 |
불쌍한 대학생과 학점 인플레 - 그렇게 사는 인생 과연 행복하십니까? (0) | 200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