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운동 썸네일형 리스트형 민노당의 진보연대 가입.... 민노당의 진보연대 가입은 그동안 논란이 되던 사안이었다. 이유야 어찌했든 최종적으로 가입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민노당의 세력분포를 보았을 때 별로 새로운 일도 아니다. 그러나 문제는 예전 운동진영의 사고방식이 아닌가한다. 민노당의 진보연대가입으로 대선에서 더욱 효과적인 선거 대응이 가능할 것인가? 오히려 대선에서 특정정파의 이해가 더 강하게 관철되는 구조는 아닐까? 어짜피 운동조직 내에 속한 사람들은 자신의 정치적 주관이 분명한 이들이다. 이들이 대중조직을 향해 영향력을 미칠수 있는 범위 역시 한계적이다. 이러한 가운데 굳이 "연대체" 건설을 통해 "세력 과시"를 하는 것은 "대선 승리"라는 보다 큰 대의보다는 "자조직의 이해"에 맞물린 선택이 아닐까... 진보연대 뿐만 아니라, 대선을 둘러싼 다양한.. 더보기 글 준비... 나는 왜 진보연대구성에 반대하는가? - 전통적 NL 진영(통일운동진영)의 판짜기 - 시민사회진영, PD 진영에 대한 배제(배제를 염두해둔 판짜기) - 전선체 운동의 한계(혹은 전선체로까지 발전하지 못한 전선체 지향운동의 한계) - 이념적으로 통일되지 못하고, 실천적으로 괴리된 연대운동의 한계(진보연대에 대한 비판은 아님) (일반적인 진보연대 비판. 구성은 동의하되 내용이 PD의 내용으로 포괄되어야 한다는 것에는 반대.) 그럼, 연대의 원칙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 연대에는 몇가지 유형이 있다. * 사안별 연대체/지속적 연대전략 모색 * 활동가들의 네트워크 / 단체간 연대체 * .... - 연대의 원칙에서는 "상호필요"와 "공통분모"가 있어야 한다. * 왜 여성단체와 환경단체의 연대는 힘든가?(관념적으.. 더보기 이전 1 다음